분류 전체보기(294)
-
항공기 조종계통의 작동점검 및 조절
항공기 조종계통의 작동점검 및 조절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서른두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작동점검 및 조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번시간에는 생명과도 연결되는 조종계통의 경고장치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경고장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종장치의 작동점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조종계통의 작동점검 및 조절 1) 조종장치의 작동점검 조종계통을 연결하는 장치들은 유격이나 마모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조종간이나 방향키 페달의 움직이는 크기에 따라 조종면은 중립 위치에서 정확하게 일치하여 움직여야 합니다. 항공기 조종계통의 케이블이나 푸시풀로드는 기체에 작용하는 힘과 진동에 의하여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마모나 부식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죠. 또한, 유압 작동액이 새..
2021.01.21 -
항공기 조종계통 경고장치
항공기 조종계통 경고장치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서른한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 경고장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조종계통에 대해서는 다 알아봤으니 이제는 경고장치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인데요 . 1. 조종계통 경고장치 항공기는 비행 중 발생하는 위험한 상태와 고장에 대하여 경고장치를 통해 조종사에게 알려 주는데요. 조종계통의 경고장치는 실속 경고장치와 이륙 경고장치 및 조종계통의 고장 상태를 알려주는 경고장치로 구분합니다. 1) 실속 경고장치 실속 경고장치는 비행 중 항공기 속도가 실속에 접근하면 조종간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벨소리와 경고 메시지로 실속 경고를 알려줍니다. 실속 경고는 실속 제어 컴퓨터가 담당하며, 항공기의 받음각, 플랩 및 안전장치의 위치, 항공기속도, 엔진 회전수 등의 신호를..
2021.01.19 -
항공기 트림 스위치(도움날개와 방향키, 스테빌라이저)
항공기 트림 스위치(도움날개와 방향키, 스테빌라이저)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아홉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트림 스위치(도움날개와 방향키 트림 스위치, 스테빌라이저 트림 스위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트림 스위치도 조종계통중에 하나입니다. 1. 트림 스위치(Trim Switch) 항공기의 상승, 하강 또는 선회 운동은 승강키나 도움날개를 움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조종간에 힘을 가하여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비행 중 좌측 엔진이 정지된다면 조종사는 항공기 자세를 바로 유지하기 위하여 우측 방향키 페달을 밀고 있어야 할겁니다. 트림 계통의 목적은 조종사의 불필요한 피로를 없애기 위해 설정한 속도 및 고도에서 조종간이나 페달에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작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트..
2021.01.18 -
항공기 조종장치(도움날개와 옆놀이 운동, 방향키와 빗놀이 운동, 승상키와 키놀이 운동)
항공기 조종장치(도움날개와 옆놀이 운동, 방향키와 빗놀이 운동, 승상키와 키놀이 운동)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서른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장치(도움날개와 옆놀이 운동, 방향키와 빗놀이 운동, 승상키와 키놀이 운동)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조종장치 1차 조종 또는 주 조종장치의 목적은 기체를 조종하는 것인데 비해 2차 (또는 보조) 조종 장치는 탭(Tab)이나 플랩(Flap) 등을 움직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죠. 1차 조종 장치와 다르게 트림(Trim) 조종면각, 플랩의 위치, 엔진 회전 속도 등의 표시장치가 필요한겁니다. 1) 도움날개와 옆놀이(Roll) 운동 조종 장치는 조종면에 작용하는 양력과 항력을 변화시켜 항공기의 무게중심을 축으로 항공기를 움직이는 장치이며, 주 조종장치와 보조 조종..
2021.01.17 -
항공기 보조 조종 입력장치(플랩 레버, 스피드브레이크 레버)
항공기 보조 조종 입력장치(플랩 레버, 스피드브레이크 레버)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여덜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보조 조종 입력장치 중에서 플랩 레버, 스피드브레이크 레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번 시간에는 주 조종계통의 입력장치(조종간, 방향키페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보조 조종 입력장치에 대해서 천천히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보조 조종 입력장치 보조 조종 입력장치는 플랩 레버와 스피드브레이크 레버가 있는데요 그림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플랩 레버는 추력 레버의 우측에 위치하며 스피드브레이크 레버는 조종석 추력 레버의 좌측에 위치를 합니다. 1) 플랩 레버 플랩 레버는 항공기의 뒷전 플랩과 앞전 플랩을 움직이는 장치인데요 플랩 레버는 그림 1-2의 우측 확..
2021.01.16 -
항공기 조종계통의 입력장치(조종간, 방향키페달)
항공기 조종계통의 입력장치(조종간, 방향키페달)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일곱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입력장치(조종간, 방향키페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오늘은 좀 쉬운 조종계통 계열입니다. 1. 조종계통의 입력장치 1) 주 조종 입력장치 조종석(cockpit)의 비행기 조종은 단일 좌석 또는 직렬(Tandem : 앞 뒤) 좌석 배치 항공기에서는 오른손으로 조종간을 잡고 왼손으로 스로틀 레버를 움직여 양발로 방향키페달을 조작한다. 병렬 좌석 항공기는 양쪽의 좌석에서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 또는 대형 항공기로 2명의 조종사가 필요한 비행기는 2명의 조종사 사이에 엔진이나 트림등의 조작장치를 장착하여 어느 쪽에서라도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요 보통 항공기에서는 좌측을 조종사석, 우측을 부조..
2021.01.15 -
항공기 동력 조종계통(Power Control System)에 대해 알아보자
항공기 동력 조종계통(Power Control System)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여섯 번째 시간으로 동력 조종계통의 부스터 조종계통, 플라이 바이 와이어 계통, 플라이 바이 라이트 계통에 대해 알아볼게요 1. 동력 조종계통(Power Control System) 동력 조종계통은 조종간이나 방향키 페달의 움직임을 유압 서버 작동기 등을 매개로 조종면에 조종력을 전달하는 방식인데요 이 방식은 조종하고자 하는 방향에 큰 조종력을 필요로 하는 대형 항공기나 초음속 항공기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 방식에서는 조종간의 움직임은 서버 작동기로 전달할 수 있으나 조종면의 움직임은 조종력과 대응되지 않으므로 인공 감각장치를 함께 사용합니다. 이 장치는 공력 특성이 급변하는 천음속 영역을 포함한..
2021.01.14 -
항공기 토크 튜브 조종계통, 봅 웨이트, 다운스프링, 차동 조종계통 알아보기
항공기 토크 튜브 조종계통, 봅 웨이트, 다운스프링, 차동 조종계통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다섯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토크 튜브 조종계통, 봅 웨이트, 다운스프링, 차동 조종계통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긴 글 아니니까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 1. 토크 튜브 조종계통(Torque Tube Control System) 토크 튜브는 조종력이 조종면에 전달되는 경우, 튜브에 회전력이 주어져 이렇게 부르는데요. 토크 튜브에는 레버 형식과 기어 형식의 2종류로 구별되요. 레버 형식은 주 조종 계통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케이블 또는 푸시풀 로드보다 무게가 무거우며, 비틀림에 의한 튜브의 변형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지름이 큰 튜브를 사용합니다. 각운동이나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곳에는 토크튜브를 사용하..
2021.01.13 -
항공기 푸시 풀 로드 조종계통(Push Pull Rod Control System)
항공기 푸시 풀 로드 조종계통(Push Pull Rod Control System)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네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푸시 풀 로드 조종계통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긴 글 아니니까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1. 항공기 푸시 풀 로드 조종계통(Push Pull Rod Control System) 초기의 항공기는 크기가 작고 속도가 낮아 푸시풀로드만으로 조종간과 조종면을 연결하였는데요. 푸시풀로드로 연결된 소형 항공기의 벨 크랭크와 피봇은 조종면을 직업 움직일 수 있도록 하죠. 푸시풀로드는 직선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고 벨 크랭크와 피봇은 힘의 전달 방향을 바꾸죠. 피봇 포인트로 움직이는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 푸시풀로드는 뒤쪽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고 벨 크랭크의 회전에 의하여 승강키는 내려가게 되..
2021.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