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94)
-
항공기의 케이블 터미널 피팅 연결방법
항공기의 케이블 터미널 피팅 연결방법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세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의 케이블 터미널 피팅 연결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오늘은 글보다는 그림이 많은 아주 편안한 시간이 될거 같아요 1. 케이블 터미널 피팅 연결방법 가. 스웨이징 방법(Swaging Terminal) 1) 용도에 따라 스웨이징 터미널의 종류를 그림 1-1 중에서 선택을 합니다. 2) 스웨이징을 할 케이블을 면밀히 검사하여 이상이 없는가를 확인합니다. 3) 케이블이 터어미널 피팅에 물리게 될 부분을 표시한다. 이 것은 스웨이징을 한 다음 케이블이 피팅으로부터 밀려 나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4) 터어미널 피팅에 케이블을 물린 다음 그림 1-2와 같은 스웨이징 공구에 피팅을 물려 양 손잡이를 천천히 눌러 압착..
2021.01.10 -
항공기 수동 조종계통(Manual Control System)
항공기 수동 조종계통(Manual Control System)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물두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수동 조종계통에 대해 알아볼게요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긴장하지 마세요 ^^ 1. 수동 조종계통(Manual Control System) 수동 조종 계통은 조종사가 조작하는 조종간 및 방향키 페달과 조종면을 케이블이나 폴리 또는 로드와 레버를 이용한 연결기구로 연결해서 조종사가 가하는 힘과 조작량을 기계적으로 조종면에 전달하는 방식이죠 이 계통은 가격이 싸고 가공이 쉽고 정비가 쉬우며 경량이므로 동력원이 필요 없어요. 또, 신뢰성이 높다는 등의 장점이 많아 앞으로도 소,중형기에 널리 이용될 방식입니다. 1) 케이블 조종계통(Cable Control System) 케이블 계통은 이 계통을..
2021.01.09 -
항공기 조종계통의 2차 조종면(Secondary Control Surface : 부 조종면)
항공기 조종계통의 2차 조종면(Secondary Control Surface : 부 조종면)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 입니다. 스물한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2차 조종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스무 번째 시간에는 1차 조종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그 2번째 이야기로서 2차 조종면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2차 조종면(Secondary Control Surface : 부 조종면) 2차 조종면은 조종면에서 1차 조종면을 제외한 보조 조종계통에 속하는 모든 조종면으로 탭, 플랩, 스포일러 등이 있어요 사용목적에 따라 양력을 증가시키는 뒷전플랩, 앞전플랩, 항력을 증가시키는 스포일러 등이 있죠 1) 뒷전플랩(Trailing Edge Flap) 뒷전플랩의 수 및 형식은 항공기의 크기와 형식에 의해 여..
2021.01.08 -
항공기 조종계통의 1차 조종면(Primary 또는 Main Control Surface)
항공기 조종계통의 1차 조종면(Primary 또는 Main Control Surface)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스무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1차 조종면(Primary 또는 Main Control Surface)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아홉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알아봤죠 오늘은 조종계통의 3번째 시간이에요. 천천히 알아보겠습니다. 1. 조종면(Flight Control Surface) 1) 1차 조종면(Primary 또는 Main Control Surface) 항공기의 자세 조종은 세로축(X), 가로축(Y) 및 수직축(Z) 주위의 조종면에 의해 행해지죠 조종면은 1차 조종면과 2차 조종면의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그림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항공기의 운동은 X..
2021.01.07 -
항공기 조종계통의 부착 구조
항공기 조종계통의 부착 구조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아홉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여덜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개요 & 기본개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조종계통의 2번째 시간이에요. 저번시간은 개요 & 기본개념이기 때문에 이해하는 수준으로 넘어갔지만 오늘부터는 조종계통의 부착구조로서 모두 이해하셔야 합니다. 1.조종계통(Control System)의 부착 구조 1) 항공기 날개 항공기 날개에는 여러 용도의 부착 장치가 설치되는데, 여기에는 공력 보조장치, 도움날개, 날개의 방빙 및 제빙장치, 연료탱크 등이 있어요. 공력 보조 장치란 양력이나 항력을 목적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해서 날개 또는 동체에 부착된 장치를 말하며, 여기에는 고양력장치와 고항력장치(..
2021.01.06 -
항공기 조종계통의 개요 & 기본개념
항공기 조종계통의 개요 & 기본개념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여덜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조종계통의 개요 & 기본개념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일곱 번째 시간에는 조향장치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새롭게 조종계통으로 넘어갑니다. 조향장치와 이어지는 부분은 없으니 유의하세요. 1. 조종계통 항공기의 조종계통은 조종면을 움직이는 인간의 근육과 같은 역할을 해요 초창기의 항공기 조종은 수동으로 기계적인 연결 장치를 통하여 작동하였으나, 현대 항공기의 조종계통은 자동 조종 컴퓨터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추세에요. 이 단원에서는 조종계통의 기계적인 작동 방법과 조종면을 움직이는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해요 1) 개요 항공 산업의 발전과 항공기의 발달 기술은 매우 빠르게 변화되어 항공기의..
2021.01.05 -
항공기 착륙장치 계통의 작동 점검 및 조절
항공기 착륙장치 계통의 작동 점검 및 조절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여덜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착륙장치 계통의 작동 점검 및 조절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일곱 번째 시간에 조향장치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그렇게 어렵지 않은 시간이였습니다. 오늘도 즐겁고 재미있게 알아보도록 해요 1.착륙장치 계통의 작동 점검 및 조절 1) 착륙장치 계통의 작동 점검 및 조절 (1) 일반 점검 일반적으로 착륙장치의 작동 점검은 유압 작용에 의한 착륙장치의 펼쳐짐과 접히는 상태, 조향장치의 작동 상태 및 제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점검하는데요 착륙장치 계통은 반복적으로 충격을 받게 되므로 기계적인 연결 부위의 파손이나 마모, 변형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며, 윤활 상태와 유격 등 정밀하게 점검하여야 하죠. 그림 ..
2021.01.04 -
항공기 조향장치의 구성과 작동원리
항공기 조향장치의 구성과 작동원리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일곱 번째 시간으로 조향장치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여섯 번째 시간에는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종류와 구조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다들 이해하셨을거라 생각하고 조향장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 1. 조향장치 조향장치는 지상에서 항공기의 진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앞 착륙장치가 담당을 하죠 소형항공기는 앞 착륙장치에 케이블과 푸시 풀 로드를 연결하여 조향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의 항공기는 유압작동기를 이용한 조향장치로 구성이 되요 경항공기는 앞바퀴의 조향(Nose Wheel Steering)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단순한 기계적인 연결기구(Mechanical Linkage)에 방향키를 연결해서..
2021.01.03 -
항공기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종류와 구조
항공기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종류와 구조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여섯 번째 시간으로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종류와 구조에 대해서 알아볼거에요 열다섯 번째 시간으로 제동장치의 주요 구성품과 작동원리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역시나 제가 글을 잘써서 인지 쉬웠죠 ~~ ㅎㅎ 오늘도 쉽게 써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브레이크의 종류와 구조 브레이크의 종류는 구조 형식에 따라 드럼식(Drum Brake 또는 Shoe Brake라고도 함), 팽창 튜브식(Expander Tube Type)과 디스크식(Disk Type)으로 나뉘며, 디스크식은 싱글 디스크(Single-Disk), 듀얼 디스크(Dual-Disk), 멀티 디스크(Multi-Disk) 또는 세그먼트 로터(Segmented Rotor)로 세분화 하게 ..
2020.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