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41)
-
항공기 착륙장치 장착 방식과 완충장치의 종류
항공기 착륙장치 장착 방식과 완충장치의 종류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네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착륙장치 장착 방식과 완충장치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세 번째 시간에는 항공기 착륙장치의 구성품 10가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다 이해 하셨을거라 생각할게요 ^^ 1. 착륙장치(Landing Gear) 장착 방식 모든 항공기는 필연적으로 두 가지 형태의 항공 역학적 항력을 가지고 있어요 동체 스킨을 지나는 공기 흐름(Airflow)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양력(Lift)을 발생하기 위해 발생하는 유도항력(Induced Drag)이 있죠 속도가 증가하면 필요한 양력을 발생하기 위해 요구되는 받음각(Angle of Attack)의 감소로 유도항력이 감소되는 동안 속도..
2020.12.29 -
항공기 착륙장치의 구성품 10가지
항공기 착륙장치의 구성품 10가지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세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착륙장치의 구성품 10가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열두 번째 시간에는 항공기 착륙장치의 정의 및 종류, 특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오늘은 구성품과 10가지를 알아볼거니까 잘 따라와주세요 1.착륙장치의 구성품(Landing Gear Component) 착륙장치의 작동은 착륙장치 레버를 내림위치에 놓고, UP Latch를 해제시키고 착륙장치 문을 열고, 착륙장치를 내리고, Down Latch를 잠그는 순서로 작동이 되요 보통 사용되는 접개들이 착륙장치의 보안등은 UP위치에는 소등상태, 작동중의 경우는 적색등이 켜지고 Down 위치에는 녹생등이 켜지게 되죠 착륙장치를 지지하고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품들로 ..
2020.12.28 -
항공기 착륙장치의 정의 및 종류,특징
항공기 착륙장치의 정의 및 종류, 특징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두 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착륙장치의 정의 및 종류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벌써 열두 번째의 시간이에요. 우리가 만난 게 벌써 12일이나 된 거네요 ^^ 항공기 착륙장치를 알게 된다면 기체의 하중과도 연관성이 있기 때문에 도움이 많이 되실 겁니다. 1. 항공기 착륙장치의 정의 항공기의 착륙장치 계통(Landing Gear System)은 항공기의 이륙, 착륙, 지상 활주 및 정지 상태에서 항공기 무게를 지탱하고, 진동을 흡수하며, 특히 착륙 시에는 항공기의 수직운동 속도 성분에 해당하는 운동에너지를 흡수해야 하므로 매우 큰 충격을 받게 돼요 따라서 착륙장치는 적당한 구조와 강도를 갖도록 설계가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지상 활주 중에 방..
2020.12.27 -
항공기 무게와 평형(목적, 필요성, 시기, 용어와정의)
항공기 무게와 평형(목적, 필요성, 시기, 용어와정의) 안녕하세요. 벌써 첫눈이 온지도 꽤 흘렀네요 메리크리스마스 ~~ 저는 크리스마스에 글을 쓰지만 아마도 26일로 넘어가서 등록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오늘은 열한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무게와 평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저번시간에 항공기 기체의 하중에 대해 알아봤는데 이어서 하는 내용이다보니 이해안가시는게 있다면 열번째 시간인 항공기 기체의 하중에 대해서 다시 보시고 오는걸 추천드려요 1.무게와 평형(Weight and Balance) 1) 목적 항공기 무게와 평형조절의 근본 목은 안전에 있어요. 이차적인 목적은 가장 효과적인 비행을 수행하는데 있어 부당한 하중은 상승한계, 기동성, 상승률, 속도, 연료소비율면에서 항공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며, 비행을 하는데 ..
2020.12.26 -
항공기 기체의 하중(비행 상태의 하중)
항공기 기체의 하중(비행 상태의 하중)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열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기체의 하중(비행 상태의 하중)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항공기 기체의 하중은 아주 예민한 거에요 하중의 중요성이 항공에 10%정도는 된다고 생각해요. 이제부터 쉽게 아주 쉽게 알아봐요 1. 하중의 중요성 항공기의 구조는 하중으로 결정이 되죠. 비행 중이나 지상에서 기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엄밀하게 설정을 하고 설계자는 하중에 맞춰 정확한 구조를 설계해야 되요 운용자는 항공기가 설정된 하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비행한다는 전제하에서 경량하에서 경량화된 항공기의 구조가 가능해요. 물론 전투기처럼 격신한 운동을 하는 항공기와 여긱기처럼 승객에게 쾌적한 여행을 제공하기 위해 최대한 부드러운 비행을 목적으로 하는 항공기에서 설정해..
2020.12.25 -
항공기 금속의 부식 및 종류, 세척 작업
항공기 금속의 부식 및 종류, 세척 작업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아홉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금속의 부식 및 종류, 세척작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공기 재료에 대해서는 일곱번째, 여덜번째 시간에 공부를 하였는데요 다들 이해하셨죠?? 이제는 금속의 부식 및 종류와 세척작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1) 부식의 영향과 문제점 항공기 구조부재의 신뢰성을 파괴할 정도로 구조물을 약하게 만드는데요 매우 위험합니다. 특히 어느 구조부재에 피로손상(Fatigue Damage)과 부식손상(Corrosion)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약한 응력에도 구조부재는 파괴되고 감항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지요 대부분의 기체 구조부를 형성하고 있는 A1 합금은 특별한 부식 민감성 때문에 심각한 부식방지 문제가 ..
2020.12.24 -
항공기 비철 금속 재료의 종류 및 성질(알류미늄, 티타늄, 마그네슘, 니켈, 구리합금)
항공기 비철 금속 재료의 종류 및 성질(알류미늄, 티타늄, 마그네슘, 니켈, 구리합금)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 입니다. 여덜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비철 금속 재료의 종류 및 성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공기 재료의 두번째 시간인데요 어떻게 첫번째 시간은 다들 잘 배우셨는지요?? 전 아직도 이해가 잘 가지 않아요. 어떻게 된게 배우면 배울수록 더 어려운게 항공인거 같네요 그럼 이제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1. 비철금속 비철금속은 철 이외의 금속 원소가 주요 성분인 금속을 말하는데요 비철 금속 재료에는 Cu, A1, Ti, Zn, Ni, Pb, Sn, Be 등이 있어요 이 금속들은 다른 원소와 합금시켜 강도와 경도 등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여 사용합니다. 1) 알루미늄과 알루미늄 합금 알루미늄과 알루미..
2020.12.23 -
항공기 금속 재료의 구조와 성질, 가공
항공기 금속 재료의 구조와 성질, 가공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일곱번째 시간으로 항공기 금속 재료의 구조와 성질, 가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항공기 재료의 첫번째 시간이니까 너무 부담갖지 마시고 재미있게 봐주세요. 1. 금속재료 1) 개요 항공 기체에 사용되는 재료는 먼저 가벼워야 하고, 또 여러 가지 종류의 힘을 받기 때문에 강도(Strength)가 높아야 하며, 부식(Corrosion)에도 강해야 하므로 기체의 각 부분은 여러 종류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항공기를 제작 또는 수리하려면 이들 재료의 성질 및 용도를 정화히 파악하여 요구하는 목적에 맞게 처리하여 사용해야 한다 금속의 일반적인 특성은 4가지가 있다. 가. 상온에서 고체이며, 결정체이다 나. 전기 및 열전도율이 양호하다 다...
2020.12.22 -
헬리콥터의 조종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
헬리콥터의 조종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 안녕하세요 다시맘N파입니다. 여섯번째 시간으로 헬리콥터의 조종 장치와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섯번때 시간까지 완벽히 이해하셨다면 여섯번째 시간은 좀 쉬는 타이밍이라서 이해하기 쉬우실겁니다. 1. 조종 장치 헬리콥터 회전날개 조종 장치는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가 있다. 이제부터 하나씩 알아보자 1) 주기 피치 조종 장치 그림 1-1과 같이 회전하고 있는 주 회전날개를 전,후,좌,우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헬리콥터를 전진 비행, 후진비행 및 측면(횡진)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기 피치 조종장치가 있다. 조종간을 앞으로 밀면 전진하는 방향의 회전날개 받음각이 작아지고 후진하는 방향의 회전날개 받음각이 커지므로 헬리콥터가 전진 비행을 하게 된다. ..
2020.12.21